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블록체인
- 모두사인
- 알고리즘
- 모두의사인
- 독서리뷰
- 아이폰13
- 전자계약시스템
- javascript
- 전자계약서비스
- 전자계약
- 전자계약솔루션
- 온라인계약
- 좋은습관
- 갤럭시노트20
- 마케팅
- 아이폰12
- 모두싸인마케터
- 코딩테스트
- 습관
- 옥소폴리틱스
- 자바스크립트
- 아이폰
- atomichabits
- map
- 모두싸인
- 모두싸인마케팅
- 전자계약서
- 아주작은습관의힘
- 자릿수더하기
- 독후감
- Today
- Total
목록찰리: 블록체인 (7)
찰리의 이야기
솔리디티(Solidity) with Klaytn IDE 솔리디티(Solidity) 란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작성과 구현에 사용되는 계약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다.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계약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데 현재는 다른 여러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동작하고 있다. 솔리디티 언어 자체는 C++, Phython, Javascript 의 영향을 받은 고수준 언어다. 상속, 라이브러리, 유저 정의 타입을 지원하고 반복문과 제어문도 사용할 수 있다. Klaytn IDE에서 몇가지 예시를 사용해보면서 맛보려고 한다. http://ide.klaytn.com/ pragma solidity >=0.4.24 =0.4.24 =0.4.24 =0.4.24 =0.4.24 =0.4.24 =0.4.24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트랜잭션(Transaction), GAS수수료 블록체인은 누구나 볼 수 있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월드 컴퓨터라고 말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은 로컬에서 작업한 것을 네트워크 상에 항상 배포해야한다. 하지만 블록체인 플랫폼은 특정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누구나 확인할 수 있고, 그 트랜잭션이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라면 누구나 그 코드를 볼 수 있고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무엇일까? 스마트 컨트랙트란 계약 당사자가 특정 조건으로 하는 코드를 블록체인에 담아두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동작하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 참고로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더리움에서 기능을 확장하면서 널리 확산되었다. 비트코인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블록체인의 개념 #4 - 디앱(DApp), 비앱(BApp), 코인(coin), 토큰(token)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다루면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을 정리하고 간다. 1. 디앱 (DApp, 댑) 디앱이란 Decentralized Application) 의 약자로, 이더리움, 이오스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 네트워크 상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2. 코인 (coin)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이 코인이라는 용어는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축통화만을 가리킨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른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자체 메인넷을 가지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이더리움, 이오스 등이 대표적이고, 생태계는 없지만 종속되지않는 비트코인이나 리플도 코인coin 에 해당한다. 3...
클레이튼(Klaytn)과 클레이튼의 장점(TPS, Finality, GAS) 클레이튼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관련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말합니다. 바로 이 클레이튼 플랫폼에서 기축통화로 사용되는 가상화폐가 클레이(Klay)입니다. 여기서는 클레이를 다루지 않고 클레이튼 플랫폼을 다루겠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이나 이오스와 동일하게 하나의 생태계를 구성하게 되며, 해당 생태계 내에서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클레이튼의 장점1. 높은 TPS(Transaction per Second) TPS는 1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규모를 말합니다. 비트코인은 7TPS 이더리움은 20TPS 인데 반하여 클레이튼은 4,000TPS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많은 거래, 많은 트랜..
블록체인의 개념 #3 - 퍼블릭키(public key), 프라이빗키(private key) 블록체인에는 키 key 개념이 있다. 이 키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퍼블릭 키(public key)와 프라이빗 키(private key) 이다. 키를 쉬운 예로 설명해본다면, 퍼블릭 키는 말 그대로 외부에 공개된 키로, '주소' (address)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우편을 보낸다고 했을 때, 서울 00구 ㅁㅁ로 .. 처럼 누구나 보낼 수 있는 주소를 말한다. 반면에 프라이빗 키는 주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 '열쇠'같은 개념이다. 예를 들어서 우편함을 열수 있는 유일한 열쇠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블록체인에서 퍼블릭 키에는 어떤 거래가 있었는지 누구나 확인 할 수 있지만, 특정 거래가 ..
블록체인의 개념 #2 - 해시 블록체인의 개념 #1에서 서로 각기 다른 원장(예시. 통장 뭉치)에서 모두 동일한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었다. 그런데 누군가 기록을 변경한다면 어떻게 진짜인지 확인할 수 있을까? 블록체인 간의 비교는 기본적으로 다수결이 원칙이다. 만약 전 세계에 있는 모든 기록을 위변조해서 바꾼다면 그것이 사실이 된다. 하지만 각기 다른 정보를 동시에 변경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이 비교를 하는 것에 있어서 문제가 하나 더 발생하는데, 비교해야하는 블록체인의 수와 기록된 데이터가 많다면, 그만큼 많은 연산과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전 세계에 있는 수많은 블록체인을 모두 비교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이 해시(Hash) 다. 모든 블..
블록체인의 개념 1 - 블록, 체인, 합의, 합의 알고리즘 블록체인은 하나의 기술을 말한다. 이것은 비트코인을 말하는 것도 아니고, 특정 코인이나 토큰 그 자체를 말하는게 아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다음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 그런데 이게 하나도 와닿지 않는다. 이를 쉽게 표현해보자면, 모든 거래가 동시에 입력이 되는 여러장의 통장을 개개인이 가지고 있다고 하자. 거래를 하면 모든 통장에 동시에 기록이 되는데, 이 통장의 여백이 모자라서 두번째 통장을 개통하면 되는데, 이때 이 통장의 단위를 '블록' 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블록(통장)들이 계속 이어지는 것을 '체인'이라고 해서, 이것을 블록 체인 이라고 하는 것이다. 지금 보통은 이 통장, 블록에 기록되는 것은..